Skip to content

fix asciidoc korean issue (progit#47) #134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Merged
merged 2 commits into from
Jan 15, 2023
Merge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54 changes: 27 additions & 27 deletions C-git-commands.asc

Large diffs are not rendered by default.

2 changes: 1 addition & 1 deletion TRANSLATION_NOTES.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56,4 +56,4 @@ chapter 2: proofreading

=== 마무리

번역이 끝나면 관리자는 `status.json`에 번역이 완료됐음을 표기합니다. 그래야 자동으로 빌드돼 여러 가지 포맷으로 배포되고 사람들에게 얼마나 번역이 진행됐는지 알릴 수 있습니다.
번역이 끝나면 관리자는 `status.json` 에 번역이 완료됐음을 표기합니다. 그래야 자동으로 빌드돼 여러 가지 포맷으로 배포되고 사람들에게 얼마나 번역이 진행됐는지 알릴 수 있습니다.
2 changes: 1 addition & 1 deletion book/01-introduction/sections/first-time-setup.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28,7 +128,7 @@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C:/Program Files/Notepad++/notepad++.exe' -m
//////////////////////////
If you have a 32-bit editor on a 64-bit system, the program will be installed in `C:\Program Files (x86)`:
//////////////////////////
64비트 Windows 시스템에서 32비트 Notepad++을 설치했다면 `C:\Program Files (x86)`에 설치된다.
64비트 Windows 시스템에서 32비트 Notepad++을 설치했다면 `C:\Program Files (x86)` 에 설치된다.

[source,console]
----
Expand Down
6 changes: 3 additions & 3 deletions book/01-introduction/sections/installing.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37,7 +37,7 @@ If you want to install the basic Git tools on Linux via a binary installer, you
If you're on Fedora (or any closely-related RPM-based distribution, such as RHEL or CentOS), you can use `dnf`:
//////////////////////////
Linux에서 패키지로 Git을 설치할 때는 보통 각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도구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Fedora(또는 비슷하게 RPM 기반 패키지 시스템을 사용하는 RHEL, CentOS)에서는 아래와 같이 `dnf`를 사용 한다.
Fedora(또는 비슷하게 RPM 기반 패키지 시스템을 사용하는 RHEL, CentOS)에서는 아래와 같이 `dnf` 를 사용 한다.

[source,console]
----
Expand All @@ -47,7 +47,7 @@ $ sudo dnf install git-all
//////////////////////////
If you're on a Debian-based distribution, such as Ubuntu, try `apt`:
//////////////////////////
Ubuntu등의 데비안 계열 배포판에서는 `apt`를 사용한다.
Ubuntu등의 데비안 계열 배포판에서는 `apt` 를 사용한다.

[source,console]
----
Expand Down Expand Up @@ -161,7 +161,7 @@ If you do want to install Git from source, you need to have the following librar
For example, if you're on a system that has `dnf` (such as Fedora) or `apt-get` (such as a Debian-based system), you can use one of these commands to install the minimal dependencies for compiling and installing the Git binaries:
//////////////////////////
Git을 설치하려면 Git이 의존하고 있는 라이브러리인 autotools, curl, zlib, openssl, expat, libiconv등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dnf`을 사용하는 Fedora등의 시스템이나 `apt-get`이 있는 데비안 계열 시스템이면 아래 명령어 중 하나를 실행하여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nf` 을 사용하는 Fedora등의 시스템이나 `apt-get` 이 있는 데비안 계열 시스템이면 아래 명령어 중 하나를 실행하여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다.

[source,console]
----
Expand Down
2 changes: 1 addition & 1 deletion book/02-git-basics/sections/getting-a-repository.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43,7 +143,7 @@ If you go into the new `libgit2` directory that was just created, you'll see the
//////////////////////////
If you want to clone the repository into a directory named something other than `libgit2`, you can specify the new directory name as an additional argument:
//////////////////////////
아래과 같은 명령을 사용하여 저장소를 Clone 하면 `libgit2`이 아니라 다른 디렉토리 이름으로 Clone 할 수 있다.
아래과 같은 명령을 사용하여 저장소를 Clone 하면 `libgit2` 이 아니라 다른 디렉토리 이름으로 Clone 할 수 있다.

[source,console]
----
Expand Down
6 changes: 3 additions & 3 deletions book/02-git-basics/sections/recording-changes.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350,7 +350,7 @@ The rules for the patterns you can put in the `.gitignore` file are as follows:
* You can end patterns with a forward slash (`/`) to specify a directory.
* You can negate a pattern by starting it with an exclamation point (`!`).
//////////////////////////
* 아무것도 없는 라인이나, `#`로 시작하는 라인은 무시한다.
* 아무것도 없는 라인이나, `#` 로 시작하는 라인은 무시한다.
* 표준 Glob 패턴을 사용한다. 이는 프로젝트 전체에 적용된다.
* 슬래시(`/`)로 시작하면 하위 디렉토리에 적용되지(Recursivity) 않는다.
* 디렉토리는 슬래시(`/`)를 끝에 사용하는 것으로 표현한다.
Expand Down Expand Up @@ -430,7 +430,7 @@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dditional `.gitignore` files in subdirecto
The rules in these nested `.gitignore` files apply only to the files under the directory where they are located.
(The Linux kernel source repository has 206 `.gitignore` files.)
//////////////////////////
`.gitignore`를 사용하는 간단한 방식은 하나의 `.gitignore` 파일을 최상위 디렉토리에 하나 두고 모든 하위 디렉토리에까지 적용시키는 방식이다.
`.gitignore` 를 사용하는 간단한 방식은 하나의 `.gitignore` 파일을 최상위 디렉토리에 하나 두고 모든 하위 디렉토리에까지 적용시키는 방식이다.
물론 `.gitignore` 파일을 하나만 두는 것이 아니라 하위 디렉토리에도 추가로 둘 수도 있다.
`.gitignore` 정책은 현재 `.gitignore`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에 적용된다.
(리눅스 커널 소스 저장소에는 `.gitignore` 파일이 206개나 있음)
Expand All @@ -439,7 +439,7 @@ The rules in these nested `.gitignore` files apply only to the files under the d
//////////////////////////
It is beyond the scope of this book to get into the details of multiple `.gitignore` files; see `man gitignore` for the details.
//////////////////////////
다수의 `.gitignore` 파일을 두고 정책을 적용하는 부분은 이 책에서 다루는 범위를 벗어난다. 자세한 내용은 `man gitignore`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수의 `.gitignore` 파일을 두고 정책을 적용하는 부분은 이 책에서 다루는 범위를 벗어난다. 자세한 내용은 `man gitignore` 에서 확인할 수 있다.
====

[[_git_diff_staged]]
Expand Down
4 changes: 2 additions & 2 deletions book/02-git-basics/sections/remotes.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47,7 +47,7 @@ If you've cloned your repository, you should at least see `origin` -- that is th
//////////////////////////
`git remote` 명령으로 현재 프로젝트에 등록된 리모트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git commands, remote)))
이 명령은 리모트 저장소의 단축 이름을 보여준다.
저장소를 Clone 하면 `origin`이라는 리모트 저장소가 자동으로 등록되기 때문에 `origin`이라는 이름을 볼 수 있다.
저장소를 Clone 하면 `origin` 이라는 리모트 저장소가 자동으로 등록되기 때문에 `origin` 이라는 이름을 볼 수 있다.

[source,console]
----
Expand Down Expand Up @@ -216,7 +216,7 @@ The command for this is simple: `git push <remote> <branch>`.(((git commands, pu
If you want to push your master branch to your `origin` server (again, cloning generally sets up both of those names for you automatically), then you can run this to push any commits you've done back up to the server:
//////////////////////////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싶을 때 Upstream 저장소에 Push 할 수 있다.
이 명령은 `git push <리모트 저장소 이름> <브랜치 이름>`으로 단순하다.(((git commands, push)))
이 명령은 `git push <리모트 저장소 이름> <브랜치 이름>` 으로 단순하다.(((git commands, push)))
master 브랜치를 `origin` 서버에 Push 하려면(다시 말하지만 Clone 하면 보통 자동으로 origin 이름이 생성된다) 아래와 같이 서버에 Push 한다.

[source,console]
Expand Down
4 changes: 2 additions & 2 deletions book/02-git-basics/sections/tagging.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3,7 +23,7 @@ In this section, you'll learn how to list the available tags, how to create new
Listing the available tags in Git is straightforward.
Just type `git tag` (with optional `-l` or `--list`):(((git commands, tag)))
//////////////////////////
우선 `git tag` 명령으로 (`-l`, `--list`는 옵션)
우선 `git tag` 명령으로 (`-l`, `--list` 는 옵션)
이미 만들어진 태그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git commands, tag)))

[source,console]
Expand Down Expand Up @@ -285,7 +285,7 @@ This process is just like sharing remote branches -- you can run `git push origi
//////////////////////////
`git push` 명령은 자동으로 리모트 서버에 태그를 전송하지 않는다.(((git commands, push)))
태그를 만들었으면 서버에 별도로 Push 해야 한다.
브랜치를 공유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할 수 있다. `git push origin <태그 이름>`을 실행한다.
브랜치를 공유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할 수 있다. `git push origin <태그 이름>` 을 실행한다.

[source,console]
----
Expand Down
6 changes: 3 additions & 3 deletions book/02-git-basics/sections/viewing-history.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69,7 +69,7 @@ One of the more helpful options is `-p` or `--patch`, which shows the difference
You can also limit the number of log entries displayed, such as using `-2` to show only the last two entries.
//////////////////////////
여러 옵션 중 `-p`, `--patch` 는 굉장히 유용한 옵션이다. `-p` 는 각 커밋의 diff 결과를 보여준다.
다른 유용한 옵션으로 `-2`가 있는데 최근 두 개의 결과만 보여주는 옵션이다:
다른 유용한 옵션으로 `-2` 가 있는데 최근 두 개의 결과만 보여주는 옵션이다:

[source,console]
----
Expand Down Expand Up @@ -347,7 +347,7 @@ In reality, you're unlikely to use that often, because Git by default pipes all
//////////////////////////
출력 형식과 관련된 옵션을 살펴봤지만 `git log` 명령은 조회 범위를 제한하는 옵션들도 있다. 히스토리 전부가 아니라 부분만 조회한다.
이미 최근 두 개만 조회하는 `-2` 옵션은 살펴봤다.
실제 사용법은 `-<n>`이고 n은 최근 n개의 커밋을 의미한다.
실제 사용법은 `-<n>` 이고 n은 최근 n개의 커밋을 의미한다.
사실 이 옵션을 자주 쓰진 않는다. Git은 기본적으로 출력을 pager류의 프로그램을 거쳐서 내보내므로 한 번에 한 페이지씩 보여준다.

//////////////////////////
Expand Down Expand Up @@ -382,7 +382,7 @@ will limit the commit output to commits that match _any_ of the `--author` patte
of the `--grep` patterns; however, adding the `--all-match` option further limits the output to
just those commits that match _all_ `--grep` patterns.
//////////////////////////
`--author`와 `--grep` 옵션을 함께 사용하여 모두 만족하는 커밋을 찾으려면 `--all-match` 옵션도 반드시 함께 사용해야 한다.
`--author` 와 `--grep` 옵션을 함께 사용하여 모두 만족하는 커밋을 찾으려면 `--all-match` 옵션도 반드시 함께 사용해야 한다.
====

//////////////////////////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47,7 +147,7 @@ Next, you have a hotfix to make.
Let's create a `hotfix` branch on which to work until it's completed:
//////////////////////////
이젠 해결해야 할 핫픽스가 생겼을 때를 살펴보자.
`hotfix`라는 브랜치를 만들고 새로운 이슈를 해결할 때까지 사용한다.
`hotfix` 라는 브랜치를 만들고 새로운 이슈를 해결할 때까지 사용한다.

[source,console]
----
Expand Down Expand Up @@ -195,7 +195,7 @@ Merge 메시지에서 “fast-forward” 가 보이는가.
//////////////////////////
Your change is now in the snapshot of the commit pointed to by the `master` branch, and you can deploy the fix.
//////////////////////////
이제 `hotfix`는 `master` 브랜치에 포함됐고 운영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해보자.
이제 `hotfix` 는 `master` 브랜치에 포함됐고 운영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해보자.

//////////////////////////
.`master` is fast-forwarded to `hotfix`
Expand Down Expand Up @@ -408,7 +408,7 @@ After you've resolved each of these sections in each conflicted file, run `git a
Staging the file marks it as resolved in Git.
//////////////////////////
충돌한 양쪽에서 조금씩 가져와서 새로 수정했다.
그리고 `<<<<<<<`, `=======`, `>>>>>>>`가 포함된 행을 삭제했다.
그리고 `<<<<<<<`, `=======`, `>>>>>>>` 가 포함된 행을 삭제했다.
이렇게 충돌한 부분을 해결하고 `git add` 명령으로 다시 Git에 저장한다.

//////////////////////////
Expand Down
6 changes: 3 additions & 3 deletions book/03-git-branching/sections/rebasing.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76,8 +76,8 @@ It works by going to the common ancestor of the two branches (the one you're on
.Rebasing the change introduced in `C4` onto `C3`
image::images/basic-rebase-3.png[Rebasing the change introduced in `C4` onto `C3`.]
//////////////////////////
.`C4`의 변경사항을 `C3`에 적용하는 Rebase 과정
image::images/basic-rebase-3.png[`C4`의 변경사항을 `C3`에 적용하는 Rebase 과정.]
.`C4` 의 변경사항을 `C3` 에 적용하는 Rebase 과정
image::images/basic-rebase-3.png[`C4` 의 변경사항을 `C3` 에 적용하는 Rebase 과정.]

//////////////////////////
At this point, you can go back to the `master` branch and do a fast-forward merge.
Expand Down Expand Up @@ -347,7 +347,7 @@ It's pretty safe to assume that the other developer doesn't want `C4` and `C6` t
//////////////////////////
`git log` 로 히스토리를 확인해보면 저자, 커밋 날짜, 메시지가 같은 커밋이 두 개 있다(C4, C4'). 이렇게 되면 혼란스럽다.
게다가 이 히스토리를 서버에 Push 하면 같은 커밋이 두 개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도 혼란스러워한다.
`C4`와 `C6`는 포함되지 말았어야 할 커밋이다. 애초에 서버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Rebase로 커밋을 정리했어야 했다.
`C4` 와 `C6` 는 포함되지 말았어야 할 커밋이다. 애초에 서버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Rebase로 커밋을 정리했어야 했다.

[[_rebase_rebase]]
//////////////////////////
Expand Down
2 changes: 1 addition & 1 deletion book/03-git-branching/sections/remote-branches.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30,7 +30,7 @@ If you were working on an issue with a partner and they pushed up an `iss53` bra
//////////////////////////
리모트 트래킹 브랜치의 이름은 `<remote>/<branch>` 형식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저장소 `origin` 의 `master` 브랜치를 보고 싶다면 `origin/master` 라는 이름으로 브랜치를 확인하면 된다.
다른 팀원과 함께 어떤 이슈를 구현할 때 그 팀원이 `iss53` 브랜치를 서버로 Push 했고 당신도 로컬에 `iss53` 브랜치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서버의 `iss53` 브랜치가 가리키는 커밋은 로컬에서 `origin/iss53`이 가리키는 커밋이다.
다른 팀원과 함께 어떤 이슈를 구현할 때 그 팀원이 `iss53` 브랜치를 서버로 Push 했고 당신도 로컬에 `iss53` 브랜치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서버의 `iss53` 브랜치가 가리키는 커밋은 로컬에서 `origin/iss53` 이 가리키는 커밋이다.

//////////////////////////
This may be a bit confusing, so let's look at an example.
Expand Down
4 changes: 2 additions & 2 deletions book/04-git-server/sections/git-daemon.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48,7 +48,7 @@ You can daemonize this process a number of ways, depending on the operating syst
Since `systemd` is the most common init system among modern Linux distributions, you can use it for that purpose.
Simply place a file in `/etc/systemd/system/git-daemon.service` with these contents:
//////////////////////////
대개의 리눅스 배포판은 `systemd`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며 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대개의 리눅스 배포판은 `systemd` 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며 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아래의 내용으로 `/etc/systemd/system/git-daemon.service` 파일을 작성한다.

[source,console]
Expand Down Expand Up @@ -123,7 +123,7 @@ For security reasons, it is strongly encouraged to have this daemon run as a use
For the sake of simplicity we'll simply run it as the same 'git' user that `git-shell` is running as.
//////////////////////////
보안을 위해서 저장소를 읽을 수만 있는 사용자로 데몬을 실행시킬 것을 강력하게 권고한다. `git-ro` 라는 계정을 새로 만들고 그 계정으로 데몬을 실행시키는 것이 좋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쉽게 설명하려고 `git-shell`을 실행하는 동일한 사용자인 `git` 계정을 사용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쉽게 설명하려고 `git-shell` 을 실행하는 동일한 사용자인 `git` 계정을 사용한다.

//////////////////////////
When you restart your machine, your Git daemon will start automatically and respawn if it goes down.
Expand Down
4 changes: 2 additions & 2 deletions book/04-git-server/sections/gitlab.as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91,7 +91,7 @@ If the user +jane+ had a project named +project+, that project's url would be `h
GitLab의 사용자 계정은 한 사람당 하나씩 만든다.
사용자 계정의 내용은 복잡하지 않다. 로그인 데이터에 추가로 개인 정보가 들어있다.
각 사용자마다 **네임스페이스**가 있다. 네임스페이스는 프로젝트를 묶는 단위이다.
*jane* 사용자가 **project**라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면 프로젝트의 URL은 `http://server/jane/project`가 될 것이다.
*jane* 사용자가 **project**라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면 프로젝트의 URL은 `http://server/jane/project` 가 될 것이다.

[[gitlab_users]]
//////////////////////////
Expand Down Expand Up @@ -128,7 +128,7 @@ A GitLab group is an assemblage of projects, along with data about how users can
Each group has a project namespace (the same way that users do), so if the group +training+ has a project +materials+, its url would be `http://server/training/materials`.
//////////////////////////
GitLab 그룹은 프로젝트와 누가 어떤 프로젝트에 어떻게 접근할지에 대한 권한 데이터의 모음이다.
그룹에도 사용자처럼 프로젝트 네임스페이스가 있다. +training+라는 그룹이 +materials+라는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으면 URL은 `http://server/training/materials`가 된다.
그룹에도 사용자처럼 프로젝트 네임스페이스가 있다. +training+라는 그룹이 +materials+라는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으면 URL은 `http://server/training/materials` 가 된다.

[[gitlab_groups]]
//////////////////////////
Expand Down
Loading